본문 바로가기
단아쌤 건강꿀팁

코로나 블루 이겨내는 정신건강 수칙

by 단아쌤 2021. 8. 9.
728x90

안녕하세요 단아쌤입니다. :D

장기화되는 집콕생활로 정신적인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비대면이 많아지고 있어 상호작용이 잘 되지 않으니 몸도 마음도 지쳐만 가는 요즘입니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더 문제가 되는 정신건강!!! 지킬 수 있는 수칙 알아볼께요.

코로나 블루 원인과 증상

 코로나 블루란 코로나19와 우울감이 합쳐진 말로 일상의 큰 변화가 생기면서 나타난 우울감이나 무기력증을 뜻한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이어진 요즘에 일상생활의 제약이 커지면서 더 심해질 것 같아요.

 급작스럽게 일어나 장기화 되고있어 불안과 두려움이 커지게 되는 현상인데요.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니 답답함이 생기고 감염될 수 있다는 불안감과 걱정이 엄습하게 되지요. 활동 제약이 계속되니 무기력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감염병 관련 증상과 뉴스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하게 되고 주변 사람들을 경계하며 민간요법에 의지하게 되는 행동들이 나타나게 된답니다.

실제로 우울과 불안을 이야기하는 상담전화도 많이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나 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현상임은 분명한것 같습니다. 몸이 움직이면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엔도르핀이나 도파민같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호르몬이 나오게 된답니다. 하지만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니 신체활동이 줄어들고 호르몬 분비 감소로 나타나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는것이지요. 무기력감이 계속되면 우울감에 이르게 되니 실내에서도 충분한 신체활동은 꼭 필요하겠어요.

이런 증상들은 누구나 겪을 수 있고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상황이 길어지면서 나타나는것으로 자책감이나 불안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어요. 나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부분이니 이겨내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극복하는 정신건강 수칙

1.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 하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지요 그만큼 사회적 연결이 중요하답니다. 인간은 관계에 대한 정서적 요구와 다른 사람과의 긍정적인 연결을 가지고 있답니다.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여기서 핵심은 '좋은 청취자'입니다. 정기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고 나의 이야기를 긍정적으로 들어줄 수 있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지요.

 하지만 거리두기로 인해 사람 만나는 일이 힘들어졌는데요 대면 만남이 힘든 요즘 화상전화나 메신저,문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답니다. 가족, 동료, 친구와 지속적으로 소통하여 외로움이나 소외감을 줄일 수 있으니 꾸준한 소통 잊지 마세요.

2. 규칙적인 운동하기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답니다. 적당한 운동은 엔돌핀을 만들어 기분을 좋게해주고 에너지를 제공해주지요. 규칙적인 운동이나 활동은 정신적, 정서적 건강에 큰 도움을 준답니다. 운동이라고 해서 거창한 것은 아니랍니다. 공원을 산책하고 자전거를 타는 등 가벼운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답니다. 거리두기로 인해 실내 체육시설 이용이 꺼려진다면 야외 산책을 하거나 반려견이 있다면 반려견 산책을 통해 함께 운동할 수 있지요. 적당한 양의 신체활동은 정신적, 정서적 건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니 마스크 잘 끼고 주변을 걷는 것부터 시작해 보세요 ^^

3. 실내에서 활동하기

 실내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며 무기력함이 함께 오지요.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난만큼 규칙적인 생활패턴이 중요하답니다. 제 시간에 일어나고 식사하는것만으로도 신체리듬을 되찾을 수 있고 활기찬 생활을 할 수 있지요. 가족 모두가 집안일에 동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답니다.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진 만큼 미뤄뒀던 청소나 옷장정리, 냉장고 정리등을 통해 몸을 움직이다보면 우울한 생각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지요.

4. 자극적인 뉴스 보지 않기

 실내에 있으면 핸드폰으로 여러가지 뉴스를 더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부정적인 기사를 보면 우울감이 더 커지고 답답한 마음도 생기기 때문에 너무 자극적인 기사는 되도록이면 보지 않는 것이 좋답니다.

5. 모두가 피해자라는 상황 인지하기

 코로나로 인한 우울감은 나 뿐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이 겪고 있는 현상이예요. 이런 불안감은 위기 상황시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당연한 반응이므로 억누르거나 숨기지 않아도 된답니다. 불안한 상황을 인정하고 감정을 받아들이는 것이 불안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예요.

 이런 불안감이 계속되면 타인에 대한 증오 반을을 증가 시킬 수 있답니다. 특정 지역 사람이나 특정 직업군에 대하 분노가 발생 할 수 있는데요 사회 전체적인 분위기가 흔들릴 수 있으니 조심해야겠어요. 모두가 피해자라는 상황을 인지하고 서로 도울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답니다.

6. 취미활동 하기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취미 활동으로 가치있는 일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되겠어요. 비즈로 마스크스트랩을 만든다던가  손뜨개로 다양한 소품을 만드는 등 본인이 즐겁게 할 수 있는 취미활동을 꾸준히 하는것도 좋답니다. 시간이 없어서 미뤄놓았던 취미활동 찾아서 하나하나 완성해 나가는 성취감도 느낄 수 있어 도움이 될거예요.

7. 감염위험 낮추기

 기침이 나고 열이 조금 오르면 혹시? 라는 생각 한번쯤 하셨을텐데요. 작은 증상에도 코로나19가 아닐까 하는 불안감 요것도 코로나 블루 증상중에 하나지요 불안감과 타인에 대한 경계심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손씻기, 코와 입에 손대지 않기, 마스크 제대로 쓰고 다니기, 거리두기 등 기본적인 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예방수칙을 잘 치켜 감염 위험을 낮춰주면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된답니다.

 모두 힘든 요즘이지요. 특히 거리두기 4단계 실시로 인해 몸도 마음도 지쳐가고 있는데요. 끝이 보이지 않는것 같지만 이럴때일수록 방역수칙 잘 지키고 이겨내야겠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