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단아쌤입니다. :D
아침 저녁으로 제법 선선하게 느껴지는데요 주말부터 쭉 비소식이 있으니 다음주에는 우산 꼭 챙겨다녀야겠어요
누구나 두통은 여러번 경험했을텐데요 머리가 아프면 짜증나고 너무 고통스럽지요.
수면부족, 시끄러운 소음 및 스트레스는 두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 일부입니다. 이런 이유 말고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식단이예요. 음식은 머리아픈 것을 유발할 수 있고 이런 음식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답니다.
오늘은 두통을 유발할 수 있는 음식 9가지 알려드릴께요 ^^
술
일부 와인 및 기타 알콜 음료에는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아황산염을 넣는답니다. 아황산염은 편두통과 관련이 있는 물질이예요.
음료에 아황산염이 없더라도 알콜 만으로도 머리 아픔이 심해질 수 있답니다.
우리 몸에 위와 소장에서 흡수된 알콜은 간에서 분해되어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환되는데요. 요 아세트알데히드는 알콜보다 독성이 10배 이상 강하답니다. 이 물질이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남게되면 우리 몸은 이 성분을 없애기 위해 혈관을 확장시켜 머리아픔이 발생하게 되지요.
실제로 술 먹은 다음날 두통에 시달리신 분들 많을텐데요 이런 이유에서 나타나는 거랍니다.
인공감미료
음료에 들어있는 인공 감미료는 두통, 현기증 및 기억상실과 관련이 있답니다. 특히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단맛이 수십 배는 강한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음료를 마신 후 모든 사람이 머리아픔을 느끼는 것은 아니지만 이것이 시초가 될 수 있지요
특히 막걸리에는 단맛을 내는 아스파탐이 많이 들어있는데요. 아스파탐과 알콜을 함께 먹으면 심하게 머리가 아플 수 있답니다.
가공육
햄이나 베이컨 등 가공육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사용하여 보존한답니다.
이 화합물은 혈관을 확장시켜 머리아픔을 유발할 수 있어요. 또한 소금에 많이 절여놓은 것으로 탈수를 유발하여 머리아픔을 느끼게 할 수 있답니다.
아질산염에 민감하다면 가공육 너무 자주, 많이 먹으면 안되겠어요~
간장
간장은 나트륨 함량이 매우 높아 탈수증을 일으킬 수 있어요.
가벼운 탈수증은 머리아픔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너무 짜게 먹는건 자제해야겠어요
MSG함유식품
풍미 증강제인 가수분해 식물성 단백질은 화학적으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식물성 단백질 이랍니다.
이러한 아미노산 중 하나인 글루타민산은 유리 글루타메이트를 방출할 수 있고 이는 신체의 유리 나트륨과 결합하여 글루타민산 일나트륨 즉 MSG를 형성한답니다.
MSG는 메스꺼움과 함께 머리아픔을 유발할 수 있는 첨가제예요~
아보카도, 바나나
아보카도는 건강상 매우 좋은 식품 중 하나이지요. 그러나 일부 아보카도는 머리아픔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티라민이 있어 혈관을 수축시켰다가 확장하여 심한 두통을 유발할 수 있어요.
건강한 과일 중 하나인 바나나~ 이 과일 또한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발효식품
티라민은 머리아픔의 원인이 되는 성분인데요. 이것은 치즈, 버터, 와인등의 발효식품에 들어있답니다. 티라민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팽창시켜 머리아픔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티라민이 들어있는 음식들은 건강식으로 알려진 발효식품에 많이 들어있는데요. 평소 머리아픔이 잦거나 심하다면 발효식품을 많이 먹고있지는 않은지 점검해 보세요
껌
껌을 자주 씹는다면 두통이 잦은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연구에 따르면 머리나 목의 장기간 근육 수축은 머리아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잦은 두통은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지요. 머리가 아프면 컨디션이 안좋아지고 심하면 구토나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답니다.
일상생활 중 머리아픔이 잦다면 위의 음식들을 많이 먹고 있지는 않은지 한번 점검해 보세요~ ^^
물론 증상이 너무 심하다면 병원에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것이 좋답니다~
'단아쌤 건강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미 vs 현미 vs 흑미 vs 적미 어느 것이 더 건강할까요? (0) | 2021.08.21 |
---|---|
간질환, 간경변의 초기 징후 5가지 (0) | 2021.08.20 |
비타민D 결핍 증상과 원인, 보충방법 (2) | 2021.08.18 |
갱년기 체중증가 이유와 해결방법 (0) | 2021.08.17 |
마음에서 오는 병 거식증 증상과 경고신호 (0) | 2021.08.16 |
댓글